사진/ 국립보건원 홈페이지
국립보건원(NIH)이 대학과 연구소 운영을 뒷받침하는 간접 비용(장비, 유지보수, 공공요금, 연구 지원 인력 비용) 지출을 대폭 삭감하는 새로운 정책을 발표했다.
트럼프 행정부가 연방 보조금을 동결하고 연방기관 대규모 해고, 생명과학 연구예산 삭감, 성별 및 다양성 관련 연구 지원 프로그램을 폐지한다고 발표하자 국립보건원도 대학과 연구소 연구비용 지출을 줄일 전망이다.
과학계에서는 과학연구 인프라가 붕괴될 위기에 처했다면서 “미국의 세계적인 의료 혁신 인프라가 흔들릴 것”이라고 우려하고 있다.
가장 큰 타격을 받는 연구분야는 희귀질환 치료연구다. 국립보건워이 지원하는 연구비에 100% 의존하는 희귀질환 아동을 위한 치료법 개발분야는 연구가 중단될 위험에 처했다며 걱정하고 있다. 이밖에도 암연구부터 산모 건강연구 등 의료계 전반에 걸친 연구분야 역시 예산삭감의 칼날을 피하지 못할 것으로 예측되고 있다.
과학계와 의료진, 대학관계자들의 반발에 백악관은 과학계의 히스테리에 불과하다고 예산삭감 후폭풍은 없을 것이라고 못박았다.
백악관 쿠시 데사이 대변인은 “세금낭비와 행정 비효율을 줄이고 연구자금을 효과적으로 재배치하는 것”이라면서 “연구자금이 실제 연구에 사용되게 하는 것”이라고 선을 그었다.
하지만 국립보건원이 연방연구비를 받는 실험실의 간접비용을 15%로 제한한다고 발표했고 해당 조치가 이어질 경우 생명과학 연구지원에 사용되던 수십억 달러가 삭감된다. 결국 부족한 예산은 대학 및 연구소가 자체 부담해야 하는데 이에 대해 연구기관들은 감당할 수 없는 수준이라고 지적했다.
존스 홉킨스 대학교(Johns Hopkins University) 연구진이 연간 100만 달러 규모의 국립보건원 연구비를 지원받으면 대학은 간접비용을 추가지원받아왔다. 하지만 간접비용 추가지원이 15%로 제한되면 연간 2억달러 이상의 비용을 받지 못하는 셈이다.
존스 홉킨스 대학교 신경과학자이자 어린이 희귀질환 연구에 몰입해온 릭 휴가니어 박사는 “이정도 수준 삭감이면 의료과학 연구 자체가 유지될 수 없는 상황”이라고 주장했다.
국립보건원은 이번 예산 삭감으로 연간 40억달러를 절감할 수 있다고 주장한다. 하지만 대학과 연구기관들은 연구 지속이 사실상 불가능해질 것이라고 반발하며 대응마련에 나섰다.
I used to be more than happy to search out this internet-site.I wished to thanks in your time for this wonderful learn!! I definitely enjoying every little bit of it and I’ve you bookmarked to check out new stuff you weblog po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