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 NPR (U.S. trade representative Jamieson Greer testifies before the Senate Finance Committee on April 8. Greer testified on President Trump’s 2025 trade policy agenda. Kayla Bartkowski/Getty Images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중국산 제품에 최대 104%의 관세를 부과하겠다는 강경한 방침을 밝히면서 미중 간 무역 갈등이 다시 격화되고 있다.
이에 맞서 중국 정부도 미국산 제품에 대해 총 84%의 보복 관세를 발표하며 강경 대응에 나섰다.
트럼프 대통령은 최근 플로리다 유세 현장에서 “중국이 미국산 제품에 대한 보복 관세를 철회하지 않으면, 우리는 추가로 50%의 관세를 부과할 것”이라며 “중국은 미국을 이용해온 대가를 치르게 될 것”이라고 발언했다.
이는 기존에 예고한 10%의 기본 관세에 더해, 특정 제품군에 한해 44%~50%의 추가 세율을 적용하겠다는 것으로 해석된다. 특히 기술 부품, 섬유, 철강 등 핵심 산업군이 주요 타깃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
이에 중국 상무부는 9일(현지시간) 성명을 통해 “미국의 일방적인 조치에 대해 부득이하게 대응하는 것”이라며, 미국산 수입품 전반에 대해 평균 84%의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발표했다. 동시에 “중국은 끝까지 싸울 준비가 되어 있다”고 경고했다.
글로벌 금융 시장은 즉각 반응했다. 미국 뉴욕증시의 S&P 500 지수는 전일 대비 2.4% 하락하며 올해 누적 하락폭이 15%를 넘어섰고, 아시아 주요 증시도 일제히 급락했다. 전문가들은 “이번 무역 전쟁이 인플레이션과 경기 침체라는 ‘이중 충격’을 유발할 수 있다”고 우려를 표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제약 산업에도 추가 관세를 적용할 가능성을 시사했다. 그는 “미국은 약값을 낮춰야 하며, 해외에서 제조된 약품에 대해서는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밝혔다.
트럼프 개통령의 제약산업 추가 관세 언급 여파로 영국 제약 대기업 아스트라제네카와 글락소스미스클라인(GSK)의 주가는 각각 5.4%, 4.8% 하락했다.
AP에 따르면 전문가들은 이번 조치가 미국 대선과 무관하지 않다고 분석한다. 보호무역 강화를 내세운 트럼프 전 대통령이 지지층 결집을 노리고 있다는 해석이다. 그러나 일각에서는 글로벌 공급망 불안과 소비자 부담 가중을 초래할 수 있다는 경고의 목소리도 높아지고 있다.
안미향 기자 [email protected]